html, css, js 파일 등 웹 서버에 파일을 올렸는데 적용이 안된 경험을 한 적이 있는가?
이런 경우에 패치된 내용을 확인할 수도 없고 원인을 모른다면 정말 답답한 상황이 찾아온다.
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방문한 페이지를 다시 접속할 때 더 빠르게 보여주기 위해서 웹 브라우저에서 웹 캐시(문서, 그림, 파일 등)를 저장하기 때문이다.
이러한 기능 덕분에 우리는 더 빠른 페이지 로딩이 가능하지만 때로는 오래된 정보를 보여주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.
앞서 말한 새로운 파일이 적용이 안된 이유도 이것 때문이다.
그래서 우리는 웹 브라우저에서 캐시를 무시하거나 지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야 한다.
OS와 브라우저에 맞는 방법을 찾아 여러 가지 방법들을 해보면 좋을 것 같다.
[캐시 무시하기]
1. 인터넷 익스플로러
Ctrl + F5(새로 고침)
2_1. 구글 크롬(window)
Ctrl + F5(새로 고침)
Shift + F5(새로 고침)
2_2. 구글 크롬(mac)
Cmd + Shift + R
2_3. 리눅스
Ctrl + F5
3_1. 사파리(버전 4 이상)
Shift + 새로 고침
3_2. 사파리(버전 3 이하)
Cmd + R
4. 오페라
Ctrl + F5(새로 고침)
Shift + F5(새로 고침)
5. 캉커러
F5(새로 고침)
[캐시 지우기 & 설정 끄기]
1. 인터넷 익스플로러
* 캐시 지우기
1. Ctrl + Shift + Del
2. '임시 인터넷 파일 및 웹 사이트' 체크
3. '삭제' 버튼
* 캐시 설정 바꾸기
도구 -> 인터넷 옵션 -> 검색 기록 -> 설정 -> 캐시 및 데이터베이스 ->'웹 사이트 및 데이터베이스 허용' 에서 변경
2. 구글 크롬
* 캐시 지우기
1. Ctrl + Shitf + Del
2. '다음 항목 삭제' 옆 목록에서 '전체' 선택
3. '캐시 삭제' -> '인터넷 사용정보 삭제'
3. 파이어폭스
* 캐시 지우기
1. Ctrl + Shift + Del
2. '삭제할 기간' -> '전체' 선택
3. '캐시' 선택 -> '지금 삭제' 클릭
* 캐시 설정 바꾸기
설정 -> 고급 -> 네트워크 -> '자동 캐시 크기 관리' 체크 후 '제한 용량' 값 '0' 으로 변경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모니터] 지원하지 않는 모드입니다. 해결방법! (5) | 2017.11.19 |
---|---|
윈도우10 부팅 usb 만들기 (0) | 2017.09.30 |
기계식 키보드의 종류와 특징 (적,갈,청,흑) (0) | 2017.07.24 |
이미지 파일 확장자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17.07.20 |
아이폰 배터리 사이클 확인하는 법 (0) | 2017.07.14 |